단일 종목, 단일 주식 ETF란 무엇일까?
최근에 국내에도 출시되어 연금 계좌에서도 투자할 수 있는 단일 종목 ETF가 무엇일까?
단일 종목 상장지수펀드(ETF)는 영어로 Single-Stock ETF라고하며,
단일 종목의 레버리지 또는 인버스 거래를 허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ETF이다.
이는 투자자들이 보유 주식을 공매도할 필요 없이,
ETF를 통해 단일 주식의 레버리지 또는 숏 포지션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이다.
투자자들은 이를 통해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ETF를 통해 더 많은 방법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레버리지형 단일 종목 ETF는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투자자에게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하지만,
단일 주식 ETF는 일반적으로 단기 거래용 상품이기 때문에 투자자는 인덱스 펀드를 투자하는 것 보다 더 큰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외국에서는 이러한 상품은 초보 투자자를 위한 펀드가 아닌, 고 위험 상품으로 취급한다.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단일 종목 ETF는 2018년에 유럽 시장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
미국에서는 2022년에 AXS Investments가 처음으로 8개 상품을 출시했다.
단일 주식 ETF의 운용방식
해외에서의 단일 주식 ETF는 일반적인 ETF처럼 펀드 내 PDF(납입자산구성내역)를 지수를 추종하기 위한 다양한 주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일 주식만을 추적하는 대신 파생상품 계약을 사용하여 레버리지 또는 역수익을 제공한다.
레버리지는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상당한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양날의 칼이기에,
투자자들은 레버리지 ETF의 위험에 대해 인지한 후 투자해야 한다.
ETF(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는 시장에서 상장되어 거래되는 인덱스 펀드로서,
ETF를 보유하게 되면 해당 ETF가 추종하는 지수의 포트폴리오를 보유하는 효과를 보게 된다.
실제로 최초의 ETF는 S&P 500 또는 러셀 2000 지수와 같은 대형지수를 추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ETF는 주식 외에 선물 및 옵션 계약과 같은 파생상품을 담고 있는 ETF도 있어,
파생상품에 직접 투자하지 못하는 투자자들도 ETF를 통해 간접 투자를 할 수 있다.
파생 ETF 중 기초 지수 또는 벤치마크 수익률의 배수를 제공하는 레버리지 ETF도 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레버리지 ETF에 투자하면 S&P 500 지수 일일 수익률의 2~3배를 누릴 수 있다.
(물론 손실도 이에 비례하여 2~3배로 본다.)
또한 마이너스 수익률(예: 지수 수익률의 -1배 또는 -2배)을 제공하는 인버스 ETF(및 인버스 레버리지 ETF)도 있다.
예를 들어, 2배 레버리지 Bull 단일 주식 ETF는 +2000의 순 델타를 제공하는 단기 콜 옵션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2배 Bear 단일 주식 ETF는 대신 -200의 델타를 초래하는 금액의 풋 옵션을 펀드 내 보유할 것이다.
국내의 단일 종목 ETF
2022년 말 처음으로 등장한 단일·소수종목 ETF는 특정 종목의 투자 비중을 높인 상품으로,
주식 한 종목을 30% 담고 나머지는 비교적 안전한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단일·소수종목 ETF는 IRP 및 연금계좌 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수요 확대에 대한 자산운용사들의 기대를 반영하여 출시되었다.
단일·소수종목 ETF는 대다수 주식 비중이 40% 이하로 출시됐는데, 이러한 ETF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된다.
이에 안전자산 비중을 30%까지 채워야 하는 퇴직연금 계좌를 보다 공격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매일경제 기사에 따르면 2023년에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 ETF는 단일·소수종목 투자 ETF 중에서는 상당히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 ETF의 경우 미국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에 30%가량 집중 투자하고,
나머지 70%는 국채 및 통화안정증권 등 한국 채권에 투자한다.
그러나 40%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한 상품이 있는 반면 시장 성과를 한참 밑도는 종목도 나왔다.
거래대금과 거래량 역시 종목별로 큰 차이를 보이므로, 자산운용사가 상품을 구성할 때 선택한 종목이 수익률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종목 ETF를 투자할 때는 해당 ETF 의 PDF에 어떤 종목들이 주로 들어가는지 ETF 자산운용사 사이트 및 투자설명서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투자하는 것이 좋다.
'글로벌 금융과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1년물 CD 단기채 ETF 출시, 단기채 장기채 ETF의 장점? (1) | 2024.02.23 |
---|---|
2차 전지 관련 리튬 및 배터리 기술주 해외 ETF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4.02.21 |
정기적인 배당 소득을 위한 최고의 해외 미국 펀드는? (1) | 2024.02.18 |
Sponsored Level 1 ADR이 무엇인가 (0) | 2023.08.13 |
유통DR 발행 근거 및 레퍼런스 (0) | 2023.08.03 |